CSS : Cascade Style Sheet
html이 데이터를 다룬다면, css는 style에 대해 다룬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dOmSh/btr6rxxd9fT/rgKRl2jdOzk1DoNFk7PnS1/img.png)
문서내용 작성하는 부분과 꾸미는 부분을 분리하여 내용을 수정하여도, 디자인을 바꿀 필요가 없고
디자인을 수정해도 글 내용을 바꿀 필요가 없다.
다양한 기기에도 디자인만 따로 적용하여 구동 시킬 수 있다.
style : 정해진 속성을 입력하여 웹페이지를 꾸미는 것
stylesheet 웹페이지에서 반복적으로 쓰는 style을 모아놓은 것
스타일 기본 형식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beIaG/btr6eV7IPZ6/qF6vsdXfsuKbjKeeB1e6G0/img.png)
css를 html에 적용하는 방법
1. html요소의 inline style속성 작성
2. html문서의 내부 style태그 작성
3. 외부 css파일을 현재 html문서와 연결
1. html요소의 inline style 속성 작성하기
<body>
<h1>CSS</h1>
<h2>css를 html문서에 적용하는 방법</h2>
<ol>
<li style="color:hotpink; text-decoration:underline;">html요소의 inline style속성 작성</li>
</ol>
<hr>
</body>
2. html문서의 내부 style태그 작성
<head>
<meta charset="UTF-8">
<meta http-equiv="X-UA-Compatible" content="IE=edge">
<meta name="viewport" content="width=device-width, initial-scale=1.0">
<title>CSS</title>
<style>
/*내부 style태그 - head태그 안에 작성 */
li{
font-size: 32px;
}
</style>
</head>
<body>
<h1>CSS</h1>
<h2>css를 html문서에 적용하는 방법</h2>
<ol>
<li>html문서의 내부 style태그 작성</li>
</ol>
<hr>
</body>
3. 외부 css파일을 현재 html문서와 연결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onZ6d/btr53InvlH5/9c6jDCjEA5X1Pme3KGcWYk/img.png)
/* CSS 영역 */
ol{
background-color: lightgray;
}
<head>
<meta charset="UTF-8">
<meta http-equiv="X-UA-Compatible" content="IE=edge">
<meta name="viewport" content="width=device-width, initial-scale=1.0">
<title>CSS</title>
<!--외부 스타일 문서 연결하기-->
<link rel="stylesheet" href="css/style.css">
</style>
</head>
<body>
<h1>CSS</h1>
<h2>css를 html문서에 적용하는 방법</h2>
<ol>
<li>외부 css파일을 현재 html문서와 연결</li>
</ol>
<hr>
<ul>
<li><a href="01_selector.html">선택자</a></li>
<li><a href="02_selector_priority.html">선택자 우선순위</a></li>
</ul>
</body>
실제로는 3. 외부 css파일을 현재 html문서와 연결하는 방법을 제일 많이 사용한다.
선택자
css선택자 설명 링크 🔼
<!DOCTYPE html>
<html lang="en">
<head>
<meta charset="UTF-8">
<meta http-equiv="X-UA-Compatible" content="IE=edge">
<meta name="viewport" content="width=device-width, initial-scale=1.0">
<title>선택자</title>
</head>
<body>
<h1 title="선택자">선택자</h1>
<!-- div>p#p$.group1{HelloWorld$}*5 -->
<div>
<p id="p1" class="group1" title="안녕1">HelloWorld1</p>
<p id="p2" class="group1">HelloWorld2</p>
<p id="p3" class="group2">HelloWorld3</p>
<p id="p4" class="group2" title="안녕4">HelloWorld4</p>
<p id="p5" class="group1 group2">HelloWorld5</p>
</div>
위와 같은 코드에서 선택자에 대해 배워보자
태그명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T3iKV/btr6odzKmTr/45KmvUCHRl1KIdKaKD5EyK/img.pn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Bhfnn/btr6tVq4DlB/QlXnfUplbZRK9Zr5BLrle0/img.png)
p선택자를 가지는 속성 전부 보라색으로 설정됨
아이디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ev5pu/btr6osKlVAk/0L5gv9AQeo30UjtnK1WkAK/img.pn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RtcWj/btr6qPY5Wr2/BV4vPkXcQJboRpLgTwMLOK/img.png)
p3아이디를 가지는 속성 연두색으로 설정됨
클래스명 - 태그 그룹핑
우선순위가 똑같으면 나중에 작성된(스타일코드에서) 스타일 적용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KuK9V/btr6pcApc2t/Wo3j0pOz1tKekE0K4iKGJK/img.pn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xoxTH/btr6eVfyz4a/Lfn8UXAJxFwLNI9sEHRCH1/img.pn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NHRIr/btr6yaawjM3/Z4AAu0vR7x6ik9POKNlFf0/img.pn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XnLzj/btr6qMVA7ti/e9qD32oWLrRJzihqnCD000/img.png)
선택자 나열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8VT82/btr6tWKig9x/9ur2QjFEhASzhNeWeGykVK/img.pn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6ENe/btr6pGH6NyA/sqOtqDh4XbMPtnmje11Lfk/img.png)
선택된 p1,p3아이디만 밑줄 그어짐
속성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tuurf/btr6eV0ZaA1/jl6VjXPKdzXJ0zZNq83Sek/img.pn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vQihl/btr53HISzgh/3eTJzSYpDFndF5nuvh57Qk/img.png)
타이틀이 존재하는 것은 배경색이 씌워지고, 타이틀이 안녕1인것만 white 글씨로 지정됨.
위에서 배운 내용 혼용하기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TwdcS/btr6qrD2PIE/c6C57lSUCxBLvX9uqwj901/img.pn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l4Lhf/btr6ngpZQan/l8cB0KX7thMwVOv4ZJYeGK/img.png)
title이 있는 것은 배경색이 적용되고, p속성중 group2클래스를 가지는 것만 bold체 처리되었다.